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주식 음봉과 양봉 이해하고 투자하기

by _stayhungry 2022. 1. 11.

주식의 그래프는 음봉과 양봉으로 구분되게 됩니다.

 

만약 시가가 종가보다 작을 경우 파란색의 음봉으로 표시되고, 반대의 경우로 종가가 시가보다 클 경우 빨간색의 양봉으로 표시되게 됩니다. 

 

 

 

시가와 종가

 

주식 차트를 형성하고 있는 그래프는 시간 그리고 주가의 등락에 따라서 막대 형태의 캔들이 형성되게 됩니다. 

 

주식 시장이 시작되게 되면 시작 가격인 시가가 형성되게 되고 주식 시장이 마감되게 되면 마감 가격인 종가가 형성되게 됩니다. 

 

시가와 종가는 아래 3가지의 케이스의 결과를 나타 낼 수 있습니다.

 

  • 시가가 종가보다 작을 경우
  • 시가가 종가와 같을 경우
  • 시가가 종가보다  클 경우

 

어느 날 시가가 10,000원에서 종가 9,000원으로 주식 시장이 마감될 경우 시가가 종가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되고 만약 10,000원 종가가 형성될 경우 시가와 종가가 동일한 경우입니다.

 

또한, 만약 종가가 1,000원 오는 11,000원에 마감될 경우 종가가 시가보다 큰 경우가 발생되게 됩니다. 

 

 

  • 음봉 : 파란색
  • 양봉 : 빨간색 

 

이처럼 종가가 시가보다 작을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되며 음봉이라고 표현합니다.

 

반대로 종가가 시가보다 클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되며 양봉이라고 표현합니다.

 

 

 

 

음봉과 양봉

 

음봉이란 시가에 비해서 주가가 하락하여 종가가 더 낮게 주식 시장이 마감된 경우로 주가가 하락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음봉 : 시가 > 종가 (주가 하락한 경우)

 

반대로, 양봉이란 시가에 비해서 주가가 상승하여 종가가 더 높게 주식 시장이 마감된 경우로 주가가 상승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양봉 : 시가 < 종가 (주가 상승한 경우)

 

 

 

음봉과 양봉 해석

 

음봉과 양봉은 색깔은 다르지만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됩니다.

 

직사각형의 몸체는 길이와 색깔을 통해서 음봉일 경우 하락세임을, 양봉일 경우는 상승세임을 표현하게 됩니다. 

 

파란색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하락세가 크다는 의미이고 빨간색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상승세의 크기가 크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음봉과 양봉은 몸체 위쪽과 아래쪽에 실선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그림자라고 표현합니다.

 

실선으로 표현되는 그림자가 존재하는 이유는 앞서 언급한 시가와 종가 이외에 장중 변동되는 주가 속에서 최고가(고가)와 최저가(저가)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어느 날 주가가 10,000원에 시작하였고, 크게 상승하여 장중 최고가 15,000원을 기록하였지만 주식 시장 마감 전 급격한 악재로 인해 최저가 5,000원을 기록하였지만 막판 기관의 매수로 인해서 주가가 8,000원으로 마감되었다.  

 

  • 고가 : 15,000원 
  • 시가 : 10,000원
  • 종가 : 8,000원
  • 저가 : 5,000원

 

여기서 시가는 10,000원, 종가는 8,000원으로 음봉으로 표현되게 되며 고가(윗 그림자)는 15,000원, 저가(아래 그림자)는 8,000원으로 표시되게 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 거래량 색깔의 의미와 주가 흐름 관계 살펴보기

- 초단타 매매 기법인 스캘핑(Scalping) 이해하기

- 숏스퀴즈와 밈주식 그리고 게임스탑 알아보기

- 공매도 뜻과 장단점 살펴보기

- 공모주 배정 방식 중 균등배정 방식 알아보기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음봉과 양봉 썸네일
@margabagus, unsplash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