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량은 매수자와 매도자의 절충된 가격으로 체결된 주식의 수를 말하며 사람들의 관심을 나타내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래량의 표시는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구분되며 전일 거래량보다 금일 거래량이 크면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전일 거래량이 금일 거래량보다 적으면 파란색으로 표시되게 됩니다.
주식 거래량 색깔
MTS나 HTS에서 한 종목의 하단을 살펴보면 거래량이 표시가 그래프 형태로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어 있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 그래프는 막대 형식의 그래프로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의 파란색과 빨간색의 구분은 전일과 금일의 거래량의 차이에 따라 구분되어 표현되게 됩니다.
만약 전일 대비하여 금일의 거래량이 많다면 빨간색으로 표시가 되고 반대로 전일 대비 금일의 거래량이 적다면 파란색으로 표시되게 됩니다.
- 파란색 (전일 거래량 > 금일 거래량)
- 빨간색 (전일 거래량 < 금일 거래량)
주식 거래량 의미
그렇다면 이러한 거래량의 색깔과 의미는 무엇일까?
주식에서 거래량이란 한 종목에서 매수하고자 하는 사람과 매도하고자 하는 사람이 일정한 가격에서 절충하게 되고 그 절충가에서 체결되어 주식을 거래하게 되는데 이렇게 체결된 주식의 수를 거래량이라고 표현합니다.
정리하면, 매수자와 매도자 절충가로 체결된 주식의 수가 바로 거래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량은 관심의 척도가 반영된 지표하고 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하나의 종목에 사람들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사고자 하는 사람과 팔고자 하는 사람이 많아지겠고 자연스럽게 체결되는 주식 수가 증가하게 되며 거래량 수치가 커지게 됩니다.
반대로 사람들의 관심 밖의 종목은 사고 자하는 사람도, 팔고자 하는 사람도 적기 때문에 거래량 수치가 상대적으로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 거래량과 주가 흐름의 관계
주식의 가격이 낮은 상태에서 거래량이 증가하게 되면 주가는 상승하는 방향으로 전화되게 되고, 반대로 주식의 가격이 높은 상태에서 거래량이 증가하게 되면 주가는 하락하는 방향으로 전화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 주가 하락한 상태에서 거래량의 증가는 상승의 가능성이 큼
- 주가 상승한 상태에서 거래량의 증가는 하락의 가능성이 큼
전자의 상황을 살펴보면, 주가가 크게 하락한 상태에서 거래량이 증가했다는 것은 새로운 세력이 해당 종목에 진입했다는 의미이고 이러한 신규 세력과 더불어 관심을 가지는 추가 투자자들의 매수가 이어지면 투자금일 몰려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반대로 후자의 상황을 살펴보면, 주가가 크게 상승한 상태에서 이미 진입하였던 세력은 상승된 주가의 부담감으로 추가 매수에 보수적이게 되며 상승된 주가로 새롭게 진입할 투자자에게 물량을 넘기고 사라지는 경우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거래시간과 서머타임 알아보기 (0) | 2022.01.13 |
---|---|
주식 음봉과 양봉 이해하고 투자하기 (0) | 2022.01.11 |
초단타 매매 기법인 스캘핑(Scalping) 이해하기 (0) | 2022.01.02 |
숏스퀴즈와 밈주식 그리고 게임스탑 알아보기 (0) | 2021.12.15 |
라오어 무한매수법 매수 및 매도 방법 (V1) (0) | 2021.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