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주식에서 체결강도의 의미와 계산법 알아보기

by _stayhungry 2022. 1. 19.

주식에서 일정 시점에서 매수의 강도(매수세)가 강한지 아니면 매도의 강도(매도세)를 보여주는 보조지표로 체결강도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체결강도는 매수 체결과 매도 체결 간의 비율로 계산하며, 매수 체결량을 매도 체결량으로 나눈 뒤에 100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체결강도

 

주식에서 매수세가 강한지, 매도세가 강한지를 보여주는 지표 중 한 가지가 바로 체결강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의 지표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거래량의 경우 정말 중요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지만 인위적인 대량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주가 예측이 왜곡되어 혼란스러운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이러한 경우 보조 지표로 주로 사용되는 주식의 보조지표가 바로 체결강도입니다.

 

 

 

 

 

체결강도 의미

 

체결강도 수치가 100보다 크다면 매수에 대한 체결량이 매도에 대한 체결량보다 많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경우 다수의 사람이 현재의 해당 종목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생각하는 심리가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체결강도 > 100 
  • 매수세 > 매도세
  • 현재 주가 저렴
  • 주가 상승 가능성 존재

 

반대의 경우로 체결강도가 만약 100보다 작다면 매수에 대한 체결량이 매도에 대한 체결량보다 작다는 의미로 이러한 경우 현재의 주가는 저렴한 상태는 아니리고 생각하는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체결강도 < 100 
  • 매수세 < 매도세
  • 현재 주가 저렴하지 않음 
  • 주가 하락 가능성 존재

 

만약 일정 종목의 주가에 대한 체결강도가 100보다 큰 경우의 일수가 다수 존재했을 경우는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고 있다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즉, 다수의 투자자(개인, 기관 및 외인)가 해당 주식을 계속해서 매수하여 모으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대의 경우로 체결강도가 100보다 작은 경우인 일수가 많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주식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현재 비싸다고 생각하는 투자자가 많다는 의미로 계속해서 매도하는 세력이 많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체결강도 계산법

 

그렇다면 체결강도는 어떠한 방식으로 수치가 계산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체결강도는 일정 기간 동안의 매수 체결과 매도 체결 간의 비율로 계산되게 되고 공식은 아래와 같이 매수 체결량을 매도 체결량으로 나눈 뒤에 100을 곱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체결강도 계산법

체결강도 = 매수 체결량 / 매도 체결량 X 100

 

만약 매수 체결량이 100이고, 매도 체결량이 200이라고 가정하면 체결강도는 100/200 x 100%로 50%의 수치로 계산되게 됩니다.

 

체결강도 예시

50% = 100 / 200 X 100%

 

 

 

 

[ 같이 보면 좋은 글 ]

 

- 비상장주식 거래 사이트 3개 알아보기

주식 음봉과 양봉 이해하고 투자하기

공매도 뜻과 장단점 살펴보기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완벽 정리

달러 인덱스 뜻과 상승과 하락의 의미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체결강도 썸네일
@nickwang15, unsplash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