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분할매수와 물타기 차이점 알아보기

by _stayhungry 2022. 3. 21.

분할매수는  투자금액과 분할 회수를 설정하여 진행하지만 물타기는 계획성 없이 하락에 대응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분할매수

 

분할매수(Accumulator)란 특정 종목 주식을 일정 기간을 전해주고 분할하여(나누어) 매수하며 진행하는 주식의 매수 방법을 말합니다. 

 

분할매수는 한 번에 계획한 투자금액을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나누어 매수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분할매수를 하는 방법은 가장 먼저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 종목을 선정한 뒤에 투자 금액을 설정합니다. 

 

종목과 금액을 설정했다면 이제 얼마나 나누어 매수할 것인지만 결정하면 됩니다.

 

분할매수 방법으로 주식을 매수하는 경우에는 한 번에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에 걸쳐서 해당 주식을 매수하기 때문에 평균 가격 방식을 취하게 됩니다.

 

 

 

 

분할매수 방법

 

앞서 간략하게 분할 매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 좀 더 자세한 방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 분할매수 종목 선정
  • 목표 매수 금액 설정
  • 분할 매수 횟수 설정
  • 횟수에 대한 비중 설정

 

먼저 분할매수 종목을 설정하고 목표 매수 금액을 설정합니다. (A종목, 1000만 원) 

 

다음으로 분할 매수 횟수와 횟수에 대한 비중을 설정합니다. (횟수 10회, 비중 10%/회)

 

위 내용과 같이 설정하여 분할매수를 진행하게 되면, A종목을 100만 원씩 10회에 걸쳐서 매수하고 결과적으로 1000만 원을 투자하게 됩니다. 

 

 

 

 

물타기와 분할매수

 

물타기

 

분할매수라는 개념과 물타기라는 용어는 항상 같이 사용되게 되는 용어입니다.  

 

그냥저냥 비슷한 의미라고 생각하고 두 가지 용어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조금 고민을 하여 생각해보면 두 단어는 큰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에서 사용되는지 물타기라는 용어는 투자한 종목에 대한 매수 결과가 하락하는 경우에 해당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물타기는 본인이 투자하여 매수한 종목에 대한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기 위한 목적입니다.  

 

물타기는 매수 단가를 낮춰 주가가 반등할 경우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법인데 만약 주가의 하락이 이어질 경우 손실이 가중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또한, 물타기를 계속해서 진행하게 되면 보유하고 있는 수량이 누적해서 많아지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큰 금액을 투입하지 않으면 평균 단가를 낮추기도 힘들게 됩니다. 

 

 

분할매수와 물타기 

 

앞서 살펴본 두 가지 개념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계획에 있습니다. 

 

분할매수는 총 투자금액과 분할 회수를 설정하여 진행하지만 물타기는 계획성 없이 하락에 대응하는 방법입니다. 

 

여러 분야에 투자할 경우 투자 자금을 배분하는 것이 중요한데 물타기를 할 경우 다른 곳에 투자해야 할 투자금을 가져와 손실을 줄이기 위해 투자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주식 투자 관련 서적과 강의에서는 계획과 소신 투자를 많이 언급하고 있습니다. 

 

계획성 없는 물타기가 아닌 계획성 있는 투자인 분할매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

 

- 2022년 미국 주식 휴장일 알아보기

주식에서 체결강도의 의미와 계산법 알아보기

RSI 지표 계산 및 활용 방법 완벽 정리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완벽 정리

텐 베거 10배의 수익률 알아보기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분할매수와 물타기 썸네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