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주식 매도 이후 입금까지 걸리는 시간 완벽 정리

by _stayhungry 2021. 11. 15.

주식을 매도하게 될 경우 영업일을 기준으로 3일 후에 증권계좌로 매도한 만큼의 금액이 입금되어 출금이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영업일 기준 3일은 해당 주식 매도한 날을 포함하는 기준이고 주식 시장이 열리지 않은 토요일과 일요일 같은 주말과 공휴일은 영업일 기준에서 제외되게 됩니다. 

 

 

 

주식 매도 이후 입금까지 걸리는 시간

 

본인이 본인의 증권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매도하더라도 증권계좌에서 즉시 출금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주식은 영업일 기준으로 3일 뒤에 입금되는 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즉, 보유하고 있는 종목을 매도하게 되면 3일 이후 본인의 증권계좌로 매도한 금액만큼의 금액이 입금되고 출금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앞서 말하는 영업일 기준 3일이라는 것은 아래와 같이 해석하게 되면 헷갈리지 않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매도일 포함 영업일 3일 이후 입금 
  • 매도한 날을 제외한 2일 이후 입금 

 

상기와 같이 구분하여 이해해야 하는 이유는, 기준일인 매도일을 포함하는 것인지 아니면 포함하지 않고 다음 날부터 계산하는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주식 매도 이후 입금까지 걸리는 시간 (예시)

 

앞서 주식 매도 이후 입금까지는 매도일 포함 영업일 3일 이후 입금이 된다고 설명해 드렸습니다. 

 

이제 주식 매도 이후 입금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2가지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 평일 기준
  • 주말 포함 

 

1) 평일 기준 

 

평일 기준의 경우를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주식을 매도한 날이 월요일이라면 수요일에 입금되게 됩니다.

 

월요일과 화요일 그리고 수요일 모두 영업일이기 때문에 매도일 포함 영업일 3일 이후 입금이 되게 됩니다. 

 

  • 매도 : +1 영업일 / 월요일
  •        : +2 영업일 / 화요일
  • 입금 : +3 영업일 / 수요일

 

2) 주말 포함 

 

다음으로 주말이 포함된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주식을 매도한 날일 금요일이라고 하면 화요일에 입금되게 됩니다.

 

금요일 이후 토요일과 일요일은 주식 시장이 열리지 않는 휴장일 즉, 영업일이 아니기 때문에 영업일 기준으로 금요일, 월요일, 화요일 이렇게 3일이 고려돼 화요일에 입금되게 됩니다. 

 

  • 매도 : +1 영업일 / 금요일
  •        :                  / 토요일 (휴장일)
  •        :                  / 일요일 (휴장일)
  •        : +2 영업일 / 월요일
  • 입금 : +3 영업일 / 화요일

 

상기 예시에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대해서만 언급되었지만, 주말뿐만 아니라 주식 시장이 열리지 않는 공휴일 역시 영업일로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영업일 기준에서 제외하여 시간을 계산하면 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 주식과 주주 제대로 알아보기

 

주식과 주주 제대로 알아보기

주식이란 주주는 주식투자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이란, 기업이 발행한 주식을 말하고 주주란, 주식을 소유한 사람을 칭하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 글의 순서

usdman.tistory.com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매도 이후 입금까지 걸리는 시간 썸네일
@maxdicapua, unsplash

댓글